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9월10일비트버니퀴즈정답

by 각시탈12 2024. 9. 10.

0000란 소득의 불평등 정도를 나타내느 가장 대표적인 소득분배 지표로, 0에서 1사이의 수치로 표시해요.

 

정답 지니계수

 

지니계수(Gini coefficient)는 소득이나 부의 불평등 정도를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이탈리아의 통계학자 코라도 지니(Corrado Gini)가 1912년에 개발하였으며, 주로 경제학에서 사용됩니다. 지니계수는 0에서 1 사이의 값을 가지며,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가집니다:

  • 0에 가까울수록: 완전 평등을 의미하며, 모든 사람이 동일한 소득을 가지고 있다는 뜻입니다.
  • 1에 가까울수록: 극단적인 불평등을 의미하며, 한 사람이 모든 소득을 차지하고 나머지 사람들은 아무 소득도 없다는 뜻입니다.

계산 방법

지니계수는 로렌츠 곡선(Lorenz Curve)을 기반으로 계산됩니다. 로렌츠 곡선은 인구의 누적 백분율과 소득의 누적 백분율을 비교하여 그린 곡선입니다. 로렌츠 곡선이 대각선과 얼마나 차이가 나는지에 따라 불평등 정도를 나타내는데, 그 차이가 클수록 불평등이 크다고 봅니다.

지니계수는 로렌츠 곡선과 완전 평등선(대각선) 사이의 면적을 기준으로 계산되며, 그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G=1−2×∫01L(x)dxG = 1 - 2 \times \int_0^1 L(x) dx

여기서 L(x)L(x)는 로렌츠 곡선을 나타내는 함수입니다.

실생활 예시

  • 지니계수가 낮은 경우: 북유럽 국가들(스웨덴, 덴마크 등)은 소득 분배가 상대적으로 평등한 편이라 지니계수가 낮습니다.
  • 지니계수가 높은 경우: 일부 개발도상국이나 불평등이 심한 경제는 지니계수가 높게 나타납니다.

지니계수는 소득 불평등을 간단하게 나타내는 지표로 유용하지만, 경제적 복지나 분배의 질을 완전히 설명하지는 못한다는 한계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