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파르헤지아

by 각시탈12 2024. 10. 28.

"파르헤지아(parrhesia)"는 고대 그리스어로 "자유롭게 말하기"를 뜻하며, 솔직함과 진실을 두려움 없이 말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개념은 철학자 미셸 푸코가 이를 현대 철학에서 중요한 주제로 다시 부각시켰으며, 파르헤지아는 특히 권력 관계 속에서 진실을 말할 때 발생하는 용기와 윤리적 책임을 강조합니다.

 

푸코는 파르헤지아를 단순한 발언이 아닌, 진실에 대한 헌신적 태도로 보았습니다. 이는 단순히 솔직한 의견을 표현하는 것을 넘어, 상대방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음에도 진심을 담아 진실을 전달하려는 행위입니다. 여기에는 개인적, 사회적 위험을 감수하고도 진실을 전하는 태도와, 그로 인해 자신의 지위나 관계가 위협받을 수 있다는 점이 내포되어 있습니다.

 

파르헤지아는 자유롭고 진실한 소통을 통해 사회의 긍정적인 변화를 추구하는 데 중요한 개념으로, 개인이 자기 생각을 두려움 없이 표현하는 데 요구되는 용기와 윤리적 책임을 잘 드러내는 말입니다.

 

파르헤지아는 특히 진실을 말하기 어렵거나 위험한 상황에서 나타나는 솔직한 발언으로, 다음과 같이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1. 직장 내 부당한 상황에 대한 발언

어떤 회사에서 직원들이 과도한 업무에 시달리고 있다고 해볼게요. 대부분의 직원은 불평이 있어도 자리를 잃을까 봐 아무 말도 하지 못합니다. 그러나 한 직원이 용기를 내어 상사에게 직접 문제를 지적하며, 직원들이 겪는 어려움을 솔직하게 이야기합니다. 이 직원은 상사나 동료의 눈치를 보지 않고 직장 환경을 개선하려는 의도로 진실을 말하는 것입니다. 파르헤지아의 본질은 바로 이런 용기 있는 발언에 있습니다.

2. 역사적인 사례: 소크라테스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소크라테스는 아테네 사회에서 사람들이 생각하지 않고 받아들이는 믿음과 규범에 대해 자주 의문을 제기했습니다. 그는 사람들이 싫어할 것을 알면서도, 아테네의 민주주의와 시민들의 도덕적 타락에 대해 공개적으로 질문했습니다. 이러한 태도는 그가 사형선고를 받는 결과를 초래했지만, 소크라테스는 진실을 위해 목숨을 걸고 솔직하게 자신의 철학을 전하려 했습니다. 자신의 안전을 넘어선 진리 추구의 태도가 바로 파르헤지아의 전형적인 예입니다.

3. 현대 사례: 내부 고발자(Whistleblower)

또 다른 예로, 정부나 회사에서 비리를 폭로하는 내부 고발자를 들 수 있습니다. 이들은 부패와 잘못된 정책을 공개함으로써 본인의 지위와 안전이 위협받을 가능성을 알면서도 진실을 선택합니다. 많은 내부 고발자들이 부당한 일을 바로잡기 위해 진실을 밝히고, 이를 통해 더 나은 사회를 만들기를 바랍니다. 위험을 감수하고 솔직하게 말하는 것은 파르헤지아의 핵심 정신을 잘 보여줍니다.

 

이처럼 파르헤지아는 두려움 없이 진실을 이야기하고, 상황이 불리할지라도 바른 말을 하기 위해 자신의 목소리를 내는 행위를 의미합니다.

''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월17일  (0) 2024.11.17
11월10일  (3) 2024.11.10
오늘이 마지막인 것처럼 살아라  (1) 2024.10.27
기대와 설레임  (0) 2024.10.27
10월26일  (1) 2024.10.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