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비트버니오늘의퀴즈정답

by 각시탈12 2025. 6. 10.

문제

돌려 조인다, 쥐어짜다는 의미의 '스크루(Screw)'와 인플레이션(Inflation)의 합성어인 0000000은 물가 상승과 실질임금 감소, 주택가격 하락과 임시직의 증가 및 주가 정체 등으로 중산층의 가처분 소득이 줄었을 때 발생해요!

 

정답 스크루플레이션

 

 

"스크루플레이션(Skruflation)"은 비교적 최근에 등장한 경제 용어로, 기존의 **인플레이션(inflation)**이나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과는 조금 다른 소비자 체감 중심의 개념입니다.

 

1. 정의
"스크루플레이션(Skruflation)"은
기업들이 가격은 그대로 유지하거나 소폭만 올리면서, 제품의 품질, 양, 서비스 등은 줄이거나 낮추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소비자는 같은 값을 내고도 예전보다 **더 적은 가치를 받게 되어 ‘속았다(screwed)’**는 느낌을 받는다는 데서 이름이 유래했습니다.
"Screw (속이다)" + "Inflation (물가 상승)"의 합성어입니다.

2. 예시
식품: 과자 봉지의 크기는 그대로인데 내용물의 양이 줄어듬.
외식업: 똑같은 가격인데 반찬 수가 줄고, 재료의 질이 낮아짐.
항공사: 기존엔 무료였던 수하물 서비스가 유료 전환되거나 기내식 질이 낮아짐.
가전제품: 동일한 모델명인데 부품의 품질이나 내구성이 예전보다 낮아짐.

3. 발생하는 이유
원가 상승: 재료비, 인건비, 물류비 등이 오르는데, 가격을 그대로 올리면 소비자가 민감하게 반응하므로,
가격 저항 회피: 표면적인 ‘가격 인상’을 피하고자 제품 질이나 양을 은근히 낮추는 방식 선택.
기업의 수익 유지: 소비자 눈에 띄지 않게 비용을 줄이면서 이익률을 유지 또는 증가시키기 위함.

4. 스크루플레이션과 다른 개념 비교
인플레이션: 가격이 전반적으로 오름
스태그플레이션 : 경기 침체 + 물가 상승
슈링크플레이션(Shrinkflation): 제품 크기나 양은 줄고 가격은 그대로
스크루플레이션(Skruflation): 가격은 거의 그대로지만 질·서비스가 떨어짐
※ 슈링크플레이션은 주로 수량 감소, 스크루플레이션은 품질 저하나 소비자 가치의 감소에 집중.

5. 소비자에게 미치는 영향
체감 물가가 공식 물가보다 훨씬 높게 느껴짐.
“사는 게 점점 억울하다”는 감정 증가.
소비자 신뢰 하락 및 브랜드 충성도 약화.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 국민 최대 50만원!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확정  (1) 2025.06.21
연말정산을 잘하자  (0) 2025.01.18
어닝쇼크  (2) 2024.12.14
포트폴리오  (0) 2024.12.13
그린워싱  (2) 2024.12.12